에러 발생시 에러 페이지를 생성해보자
|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|
<%--오류 발생 : 500 에러 발생
<%@ page language="java"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EUC-KR"
pageEncoding="EUC-KR"%>
<%--에러가 발생할 경우 errorPage 속성에 지정한 페이지를 보여줍니다. --%>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EUC-KR">
<title>파라미터 출력</title>
</head>
<body>
<%-- 파라미터 name으로 요청도니 것이 없기 때문에 request.getParameter("name")은
NullPointerException 발생합니다. --%>
name 파라미터 값 : <%=request.getParameter("name").toUpperCase() %>
</body>
</html>
Colored by Color Scripter
|
|


위의 에러를 제어하기 위해서 페이지를 만들었는데 오류가 발생한다.
|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|
<%@ page language="java"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EUC-KR"
pageEncoding="EUC-KR"%>
<%@page isErrorPage = "true" %>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EUC-KR">
<title>ErrorMessage</title>
</head>
<body>
요청 처리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.
빠른 시간 내에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겠습니다.
<p>
에러 타입 : <%=exception.getClass().getName() %><br>
에러 메시지: <b><%=exception.getMessage() %></b>
</p>
</body>
</html>
Colored by Color Scripter
|
|
Page 디렉티브의 errorPage 속성을 사용해서 에러 페이지를 지정하면 지정한 에러 페이지의 isErrorPage 속성의 값은 "true"이어야 합니다.
지정한 에러 페이지의 isErrorPage 속성의 값은 "true"이여야 합니다.
isErrorPage = "true" : 에러 페이지로 지정함을 의미합니다.
에러가 발생할 때 지정한 에러 페이지를 사용하게 됩니다.
exception은 page 지시문에서 오류 페이지 (isErrorPage = "true")로
지정된 JSP페이지에서 예외가 발생할 때 전달되는
java.lang.Throwable의 인스턴스에 대한 참조 변수입니다.

'IT > J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액션 태그 (0) | 2019.05.14 |
|---|---|
| Error page 관리 (0) | 2019.05.13 |
| web.xml로 url 제어하기 (0) | 2019.05.13 |
| Config vs application (0) | 2019.05.13 |
| config (0) | 2019.05.13 |